Et la langue la plus facile du monde est… | Nicolas Roiret
https://www.tradest-group.com/pl/et-la-langue-la-plus-facile-du-monde-est/
#TokiPona #mention #toki_pasila #anno2017
Live Toki Pona Sitelen Sitelen Renderer
I created Sitelen Sitelen Renderer because I am fascinated by combining the artifical language Toki Pona with the non-linear writing style 'Sitelen Sitelen' by Jonathan Gabel. Unlike other work with Sitelen Sitelen I want the writings to be generated by the computer. My first attempt was in the beginning of 2015 when I experimented with CSS Flexbox using SVG for the Glyphs. The algorithm was limited and doomed so in October 2015 I started anew, and set out to create SVG-only sitelen sitelen that can be exported and reused.
On this page you can type (proper) Toki Pona. The text is parsed into structures that can be rendered in the style of Sitelen Sitelen. By hovering at the top of the glyphs you can choose the form that you like. You can even download the self-contained SVG which you can then use wherever.
Mind that this project is very much in alpha, many language constructs are not implemented yet. If you find them you can add them to the issue list, see my GitHub repo. Also check out the Toki Pona proverbs from Sonja's book generated by Sitelen Sitelen Renderer.
~ Cheers! Olaf Janssen
http://livingtokipona.smoishele.com/examples/liveinput/liveinput.html
"Au secours" en Toki Pona
par Rumiel, le 23/02/2020 à 14:34 - 57 visites
Bonjour cher guichet,
Je me demande comment on peut dire "au secours" en langue toki pona.
Un grand merci !
2020-02-01 17:21 New translation of "Cogito ergo sum" into Toki Pona by marvelosa2
mi pilin la mi lon.
I think, therefore I am
toki pona es un lenguaje artificial contruido con el objetivo explícito de ser simple
Tiene alrededor de 120 palabras, se puede escribir sin signos de puntuación más que un punto para separar frases
Se aprende extremadamente rápido, yo puedo leerlo después de tres días y memorizar todas las palabras me podría llevar otra semana como mucho
Con un poco de práctica permite comunicarse con cualquiera sin necesidad de saber inglés
No tiene otro objetivo que jugar, pero su potencialidad es enorme
Practical use of Toki Ponatoki (self.tokipona)
HS1D4ever | 2020
I got an idea for a practical application of Toki Pona, beyond being a hobby language.
Maybe Toki Pona could be used to avoid harsh arguments between spouses or family members.
For example, a couple could have a rule that if they get into a fight, in the first 10 minutes they have to argue using Toki Pona only. (The clock starts ticking when one of the parties triggers this rule by replying in Toki Pona).
This may shift their mind and attention away from bitter quarelling, towards a more constructive dialogue, as they will have to put a part of their attention away from the reasons for the quarrel towards the language itself, i.e. how to express their grievances using only 120 words. Hopefully, this will prevent them from being completely engulfed in the argument, and approach the situation from a more detached/objective position.
What do you think? Does anyone have a partner or family member that speaks Toki Pona? We need someone to field-test this!
https://www.reddit.com/r/tokipona/comments/evpoo6/practical_use_of_toki_pona/
Polyglot Gathering 2020 stats
Languages
#
Language
Participants
1
English
95%
2
Spanish
69%
3
German
66%
4
French
66%
5
Italian
46%
6
Russian
44%
7
Polish
37%
8
Portuguese
22%
9
Chinese
21%
10
Esperanto
19%
11
Dutch
18%
12
Japanese
17%
13
Swedish
12%
14
Czech
12%
15
Slovak
11%
16
Hebrew
10%
17
Greek
9%
18
Catalan
8%
19
Arabic
8%
20
Norwegian
8%
21
Turkish
8%
22
Finnish
7%
23
Hungarian
6%
24
Danish
6%
25
Romanian
6%
26
Ukrainian
5%
27
Hindi
5%
28
Croatian
5%
29
Persian
5%
30
Latin
4%
31
Serbian
4%
32
Indonesian
3%
33
Bulgarian
3%
34
Korean
3%
35
Minnan
3%
36
Toki Pona
3%
37
Lebanese Arabic
3%
38
Thai
3%
39
Ancient Greek
2%
40
Cantonese
2%
41
Slovene
2%
42
Swiss German
2%
43
Icelandic
2%
44
Irish
2%
45
Afrikaans
1%
46
Belarusian
1%
47
Bosnian
1%
48
Kazakh
1%
49
Lithuanian
1%
50
Tagalog
1%
10 Esperanto 19%
36 Toki Pona 3%
62 Klingon < 1%
https://www.polyglotgathering.com/2020/statistics/
#TokiPona #mention #sona #anno2020
Februari 24 2020 stats
http://archive.is/SG8Ht
PWRINC
,
10/01/2020
Perfect
Of course I like the app— how could a language enthusiast such as myself not spark at a global messaging network designed to allow interaction in foreign languages— but this is honestly the first time that I have considered any app ‘perfect’. So perfect that, if I owned Tandem tomorrow, I would not change or amend anything.
For example, I was thinking, ‘man, I wish this thing had Toki Pona, but really it’s super unlikely’. So I wistfully checked the languages list...
And it has Toki Pona!
My point: everything about Tandem is a wish come true.
Developer Response
,
Woo! Thanks for your great review! It makes us super happy to hear you're loving our app! Best of luck with your language learning, Team Tandem :)
https://apps.apple.com/nz/app/tandem-language-exchange/id959001619
“Sona pona”, vrij vertaald “enkele goede ideeën", is een vierdelige masterclass waarvan elk deel een ander maatschappelijk systeem behandelt
10 maart 2020
ma pi mama mi - original Toki Pona song
Marcus Scriptor | 23 Feb.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ltACOS6Ao_M
Coronavirus outbreak began in November from outside Wuhan seafood market, says new study - world news - Hindustan Times
Vivant, ça a l’air nul participatif.
avril 28, 2015
Coucou les copains je suis vivant, je vais pas vous faire le coup du mec qui revient de voyage avec des commentaires du genre « ohmagad la sagesse de l’Orient vous pouvez pas comprendre voilà une photo de moi avec un bandeau Naruto mais quand même les japonais les tentacules hihihi moi je pourrais pas ». J’ai fait un million de photos, j’ai vécu plein de trucs, mais je sais pas comment en parler ici sans ressembler à tous les autres messages de gens qui ont parlé de voyage au Japon. Si jamais vous êtes particulièrement intéressés par mes images de panneaux de signalisation à Fukuoka, vous m’ajoutez sur Facebook, j’ai mis plein d’images de panneaux de signalisation (rien ne me passionne autant que les panneaux de signalisation dans les pays étrangers).
De toutes façons, au top du top de la hype, je devrais passer dans une émission de radio bientôt pour parler un peu de tout ça. Parce qu’il faudra vraiment débriefer ce moment ou on m’a posé une chouette sur la tête, quand-même, et que j’ai essayé d’expliquer qu’en France, ça se disait « Sugoi Bird ». Ce voyage m’a donné envie d’apprendre et de diffuser le Toki Pona. [...]
https://zalifalcam.wordpress.com/2015/04/28/vivant-ca-a-lair-nul-participatif/
Fri, 21 November 2014
343: Ben Whately | Learning Languages with Memrise
'J' IS FOR 'JOURNEYING DEEPER INTO PHILOSOPHY AND THOUGHT'.
[...]
Codes, ciphers, and artificial languages
Linguistic influence has inspired numerous artificially constructed languages designed to encourage new and better ways of thinking.
Loglan was an experiment by James Cooke Brown to see if he could help speakers think more logically. Láadan was invented by Suzette Haden Elgin to express a less male-centric worldview compared to European languages. Toki Pona is a minimal, human language with only 100 words, designed to convey maximum meaning with minimum complexity. And Ithkuil is a philosophical experiment to optimise language.
E-Prime (short for English-Prime, and sometimes represented as É or E′), eliminates all forms of the verb ‘to be’, including conjugations, contractions, and archaic forms. The inventors, Kellogg and Bourland, claim that the abuse of this verb fosters ‘deity mode of speech’, allowing anyone to express opinions as if they were fact.
In E-Prime, we’re unable to say, ‘the film was good’. We’d have to say, ‘I liked the film’ or ‘the film made me laugh’. This forces the writer to communicate experience, rather than generic opinion lacking in reason. In turn, this makes the reader less likely to confuse opinion with fact.
[...]
https://oneslashfour.jaxzyn.com/upwards-not-northwards#2017-q2-chapter-10
miércoles, 21 de junio de 2017
10 Puntos Interesantes entre los Idiomas
[...]
10.- El Vocabulario es otra característica de los idiomas. Necesitamos conocer las palabras que vamos a usar para comunicarnos. ¿Cuántas palabras necesitamos saber? Las respuestas varían de un idioma a otro. Los mismos tienen cada uno su propio número total de palabras. Se estima que el idioma que posee el vocabulario más extensor es el Inglés. Se estiman que existen unas 250.000 palabras en este idioma, aunque algunas Fuentes leídas hablan de un vocabulario aún mucho más extenso. Sin embargo, existe otro idioma que está muy fuertemente influenciado por el Inglés y que por el contrario, su vocabulario es tan simple, que se le estima como el idioma que posee la menor cantidad de palabras: Sranan, un creole basado en Inglés que es hablado mayormente en Surinam. Algunas fuentes estiman que existen alrededor de 340 palabras en este idioma, las cuales no poseen inflexiones. Existen alrededor de 100.000 parlantes nativos de este idioma. En 2001 apareció un idioma llamado Toki Pona, una lengua construida diseñada por la traductora y lingüista Canadiense Sonja Elen Kisa. Este idioma tiene un vocabulario de tan solo 123 palabras. Simpleza es uno de los principios que se tomaron en cuenta al momento de crear este idioma. Hay mucho que se puede decir y aprender usando tan solo unas pocas palabras.
[...]
http://yuryjakymec.blogspot.com/2017/06/10-puntos-interesantes-entre-los-idiomas.html
Anuna Matata - AKV Stièndoeid - Aalst carnaval - 2020
Burden of Proof
ONE FOR THE AGES
David Paul Horowitz | 2018
[...]
When I called and he recognized my number he would always answer "Davey Darling," and no matter how gray my hair got he always called me "kid." He always had time to talk, and was generous in so many ways. Last fall I received a book in the mail, Atlas Obscura, and when I called to thank him he said be sure to look up "Toki Pona."4
[...]
him = Richard 'Dick' Farrell
토키 포나
최근 수정 시각: 2020-02-03 07:00:29
분류 인공어
Langfocus의 소개 영상
1. 개요
2. 토키포나(Toki Pona)의 문자
3. 토키포나의 단어
4. 단어의 활용
5. 사람이름 고유명사의 토키포나 변환
6. 토키포나 문장구조를 결정하는 문법
7. 토키포나의 숫자
8. 토키포나 커뮤니티
9. 최소 단어의 수
10. 여담
1. 개요[편집]
토키포나(Toki Pona)는 캐나다의 번역가이자 언어학자인 소냐 랑(Sonja Lang)이 개인 프로젝트로 시작했다가 커뮤니티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인공 언어이다. 2001년 중반에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었다. 토키 포나는 14개의 음소와 120여개의 어휘로 이루어져 있고, 최소한(120)의 어휘로 최대한 넓은 개념을 표현하도록 고안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Toki Pona'를 토키 포나라고 발음한다. 하지만 우리말로 '도기 보나'로 쓰기도 하고 실제로도 위키백과엔 도기 보나라는 표제어로 등록돼있다. 이건 토키 포나에 d/t, g/k, b/p 구분이 없기 때문이다. 실제 발음에 따른 표기로는 토키 포나가 합리적일 수 있고 외래어 표기법에 기초한 표기로는 도기 보나가 합리적일 수 있다. 판단을 개인이 하길 바란다.
2. 토키포나(Toki Pona)의 문자[편집]
알파벳 문자의 일부(14 글자)를 사용한다.
a[아] e[에] i[이] j[요] k[코] l[로] m[모] n[노] o[오] p[포] s[소] t[토] u[우] w[워]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글자들은 유사한 발음을 가진 문자로 치환될 수 있다.
* b 는 없다. p 로 치환된다.
* c 는 없다. k또는 s로 치환된다.
* d 는 없다. t로 치환된다.
* f 는 없다. p로 치환된다.
* g 는 없다. k로 치환된다.
* h 는 없다. 생략된다.
* q 는 없다. k로 치환된다.
* r 는 없다. l 로 치환된다.
* v 도 없다. p로 치환된다.
* y 도 없다. j 로 치환된다.
* x 도 없다. k로 치환된다.
* z 도 없다. s로 치환된다.
두개 이상의 자음이 연달아 오거나 모음이 연달아 오는 것을 꺼린다. 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오도록 한다. 맨 끝에는 모음이 오거나, n 으로 끝나거나 해야 한다. n이 아닌 다른 자음은 끝에 오지 않는다.
항상 소문자로 쓰고, 고유명사만 대문자로 시작할 수 있다.
강세(액센트)는 항상 첫 음절(첫모음)에 온다.
3. 토키포나의 단어[편집]
논란의 여지가 있다. 처음 만들어 질 때는 120개 이상이었다가, 120개 미만으로 줄었다가, 120개로 정리 되는 듯 싶더니, 그후에 커뮤니티에서 몇단어 추가되었다. 모든 사람들이 다 인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정확히 몇단어라고 정해지지는 않았다. 현재 126단어 수준이다. 130단어가 될 것 같지는 않다.
초기 어휘는 영어, 톡 피진(Tok Pisin)[1], 핀란드어, 조지아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에스페란토, 크로아티아어, 중국어 등에서 왔다.
초기 발표되었던 단어들 - http://tokipona.net/tp/janpije/originalwords.php 과 현재 단어는 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126 단어들: https://www.memrise.com/course/338954/toki-pona-all-the-126-words/
다음은 논란이 별로 없이 사용되는 단어들이다.
a ala akesi anpa ante awen e en ijo ike ilo insa jaki jan jelo jo kala kalama kan kapesi kasi ken kepeken kili kin ko kon kule kute la lape laso lawa leko len lete li lili linja lipu loje lon luka lukin lupa ma mama mani meli mi mije moku moli monsi mun musi mute nanpa nasa nasin nena ni nimi noka o oko olin open pakala pali palisa pana pi pilin pimeja pini pipi poka poki pona sama seli selo seme sewi sijelo sike sin sina sinpin sitelen sona soweli suli suno supa suwi tan taso tawa telo tenpo toki tomo tu unpa uta utala walo wan waso wawa weka wile
다음은 논란이 있거나 사라진 단어들이다.
모든/전부(all, everything, anything, complete, whole) 를 뜻하는 단어가 출처에 따라 다르다. ali 이기도 하고 ale 이기도 하다.
초기에 3인칭 대명사를 iki 로 썼던 것 같다. 발음이 ike (나쁜)이라는 단어와 비슷해서, 지금은 ona 로 정리된 듯 하다.
언덕/버튼/불거져 도드라진 것을 뜻하는 단어로, kapa라는 게 쓰였다가, nena로 바뀐 듯 하다. nena가 더 널리 받아진다.
oko눈과 lukin 보다를 한단어로 써야 하는지 따로 나눠야 하는지 이견(異見)이 있는 듯 하다.
4를 뜻하는 po 와, 3을 뜻하는 tuli 는 초기에 있었다가, 지금은 사라진 듯 하다. 숫자로 남은 것은 wan, tu 밖에 없다.
alasa 수집/채집하다라는 단어도 목록에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엉뚱하게도, pu 라는 단어가 최근에 커뮤니티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뜻은 '토키 포나 책을 참조하다'라는 뜻이란다.
4. 단어의 활용[편집]
토키포나는 단어의 갯수가 워낙 적기 때문에, 단어라기 보다는 그런 유사한 의미를 갖는 '개념'이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명사로 쓰든 동사로 쓰든 최대한 상황에 맞춰서 써야 한다.
예: telo는 '물'이라는 명사로 쓰이기도 하고, '물을 주다' 라는 동사로 쓰이기도 한다. 또는 물과 유사한 액체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telo를 쓸 수 있다.
5. 사람이름 고유명사의 토키포나 변환[편집]
이게 좀 많이 난감하다. 왜냐 하면, 알파벳에서 상당수의 문자를 제외 시켰고, 자음과 모음을 번갈아 가면서 써야 한다는 규칙과, 끝 문자로는 모음 이거나 n 만 허용한다는 규칙 때문에, 외래어 고유명사를 토키포나로 바꾸면, 알아 보기 힘든 단어가 나온다. 당황스럽다.
예: 독일 -> 도이치란트 -> ma Tosi
예: 중국 -> Zhunguo -> ma Sonko
* 토키포나로 다른 언어의 단어를 변환하는 프로그램: http://tokipona.net/tp/Transliterate.aspx
6. 토키포나 문장구조를 결정하는 문법[편집]
토키포나는 매우 간단한 언어이고 다음과 같은 간단한 문법이 전부라고 할 수 있다.
* 토키포나의 복합어는 뒤에서 앞으로 꾸민다.
예: a b c d는 우리말로, d특성을 가진 (c한 (b스러운 a)) 라고 할 수 있다.
예: mi mute mije (나 + 여럿 + 남성) "남성인 우리들"로 해석될 수 있다.
예: tomo sina (집 + 너) "너의 집"
* 뒤 단어가 앞단어를 꾸미는데, 꾸밀 뒤 단어가 2개 이상일 경우, 그 사이에 pi 를 넣어서 혼란을 방지한다.
예: a b pi c d 는 우리말로, (d한 c)의 (b스러운 a) 라고 할 수 있다.
예: kili mute pi mije suli 는 (과일/야채 + 여럿 + pi + 남성 + 큰)은 "남자 어른의 여러 과일" 로 해석될 수 있다.
* mi (나) / sina (너) 를 제외한 모든 주어는 뒤에 li 라는 주어 구분자가 배치 되고, 나머지 문장이 뒤따른다.
예: mi suli. 나는 크다. sina lili. 너는 작다.
예: ona li suli. 그(녀)는 크다. mi mute li suli. 나 + 여럿 + li + 크다. 우리는 크다.
* 타동사 뒤에 목적어가 오기 전에 그사이에 목적격 구분자 e 가 배치된다.
예: mi moku e ni. 나(mi)는 그것/이것(ni)을(e) 먹는다(moku).
* 상황/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어구를 표현할 때, la 를 구분자로 넣는다. la 앞에 있는 것이 문장이든 어구든 상관없이 그것은 어떤 상황이나 조건을 설명하는 어구이고, 실제 문장은 그 뒤부터 시작된다.
예: tenpo pini la mi pali e ni. (시간 + 끝난 + la(부사) + 나 + 하다 + e (목적) + 그것/이것), "과거에 나는 그걸 했다."
* 호격/명령어에는 o 를 쓴다. 누구누구야 라고 호출할 때, o를 뒤에 붙이거나, 무엇무엇 해 줘라고 명령어를 말할 때 명령 동사 앞에 o 를 붙인다.
예: jan San o 존(John)아!
예: o moku e ni. 이것(ni)을(e) 먹어(moku)봐(o). 이것 먹어.
* 감탄사 조사 a 가 맨 뒤에 붙을 수 있다.
예: pona a! 아름답구나!
* AND/OR 로 en 과 anu 가 있다. en 과 anu 앞뒤에는 호응이 맞는 명사구가 올 수 있다.
예: bona anu seme 좋아 아니면 뭣?
예: soweli lili en kala wawa 작은(lili) 짐승(soweli) 그리고(en) 힘센(wawa) kala(물고기)
* 하나의 주어에 2개 이상의 서술어를 쓰고 싶으면, 주어/술어 구분자인 li 를 한번 더 쓰고 그 뒤에 술어를 붙이면 된다.
예: a li b li c 형태는 a가 b하고, 또 c하기도 하다라는 식이다.
예: mi suli li wawa 나는 크기도 하고, 힘세기도 하다. 주어가 mi(나)/sina(너)일 떄는 주어/술어 구분자 li 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mi 다음에 (li)가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두번째 li 는 같은 주어에 대해서 다른 술어를 계속 덧붙인다는 의미이다.
예: mi mute li kama li kalama. 우리(mi mute)는 온다.(kama) 그리고(li) 소리를 낸다(kalama)
* 유사하게 pi 역시 두번 이상 붙일 수 있다.
예: a pi b pi c 는 b의 a 그리고 또한 c의 a 라는 식으로 해석된다.
예: lawa pi jan mute pi soweli olin 는 jan mute (많은 사람) 의 리더쉽 (lawa) 임과 동시에 사랑을 가진 짐승(soweli olin)의 리더쉽 (lawa) 이기도 하다.
* 복합 문장을 만들 때는, 작은 문장 두개로 나눈 다음, 앞 문장에서 뒷 문장 전체를 가리키며 ni 를 쓸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난 이렇게 말한다: 너는 너의 집에 간다." (나는 너가 너의 집에 간다고 말한다)
예: mi toki e ni: sina tawa tomo sina. (나 + 말하다 + 목적격(e) + 이것/그것: 너 + ~로향하다 + 집 + 너)
7. 토키포나의 숫자[편집]
토키포나의 최대 난점은 숫자이다. 숫자를 말하는 단어가, wan, tu, luka(5/손), ala(제로), ali(100), mute(20)정도 밖에 없다.
78을 표현하려면, mute mute mute luka luka luka tu wan (20 + 20 + 20 + 5 + 5 + 5 + 2 + 1) 이렇게 표현한다. 더 짧은 방법은 없다. 당황스럽다.
8. 토키포나 커뮤니티[편집]
* 페이스북 토키포나 그룹: https://www.facebook.com/groups/sitelen/
* 적절한 토키포나 사이트 http://tokipona.net/tp/
9. 최소 단어의 수[편집]
토키포나는 인공 언어 중에서 단어 수가 극단적으로 적은 언어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써 보면 120개 단어로 표현하는 세상은 한계가 제법 된다. 그렇다면, 적당한 단어 수는 몇개 정도일까?
* 컴퓨터라면, 0 과 1 두 단어로 충분하다.
* 토키포나는 120여 단어로 세상만사를 다 표현하려고 하지만, 기본적인 숫자 표현도 자연스럽지 못하다.
* 한자는 상형문자로 수만자의 글자가 있지만, 그 부수는 214자로 고정되어 있다.
* 초급 에스페란토 강좌에서 다루는 단어가 500 단어 수준이다.
* 한/중/일 3국에서 배우는 기초 생활한자는 대략 1800 자 ~ 2200 자 정도 된다.
* 영어를 좀더 쉽게 만든 Basic English의 핵심 단어는 850 단어이다.
이상의 내용을 참고하면 이 정도로 요약될 수 있다.
* 고집스럽게 어휘의 갯수를 줄이는 것에 촛점을 맞추면 100단어(토키포나)~200단어(한자부수) 범위로 세상 삼라만상을 다 표현할 수 있다고 하겠다.
* 사람이 사용하는 효율성을 따져 보면, 500단어(에스페란토 기초단어)~850단어(Basic English)가 적절한 범위일 것이다.
10. 여담[편집]
단어 중에 '에스페란토' 어에서 왔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단어가 꽤 있다. mi (나), ijo (someting, 'io'), ilo (tool, 'ilo'), oko (눈, 'okulo'), pali (하다, 'fari'), suno (태양, 'suno'), sama(같은, 'sama'), pona (좋은, 'pona'), tenpo (시간, tempo), tomo (집, 'domo'), tu (둘, 'du'), mute (많은 'multe'), selo (껍질, 'ŝelo'), supa (표면, 'surfaco'), musi (재미, 'amuzo')https://en.wiktionary.org/wiki/Category:Toki_Pona_terms_derived_from_Esperanto
한국어/일본어/중국어등 동아시아에서 익숙한 단어들도 꽤 있다. nanpa (숫자, '난바')/일본어, wan(1)/일본어, jo (가지다, you有)/중국어, seme (어떤/무엇, senme)/중국어, jan(사람, 人)/한국어, ko(고형물, 固)/중국어, kon(공기, 空)/일본어, moku (먹다, 음식)/한국어,일본어.
파푸아뉴기니에서 쓴다는 Tok Pisin 이라는 언어에서 온 단어들도 꽤 있다. 원래 영어로부터 출발한 것들이 많다. https://en.wiktionary.org/wiki/Category:Toki_Pona_terms_derived_from_Tok_Pisin insa (inside), kama (come), ken (can), lili (little), meli (女), nanpa (number), pi (of), pilin (feeling), pini (finish), poki (containing), suwi (superior/large), taso (that's all), toki (talk)
[1] 파푸아뉴기니에서 사용되는 영어의 피진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HOPE & ANCHOR
CORE VALUES 2020 / WEEK 3 / TOKI PONA
February 9, 2020 Adam Stoddard
http://www.hopeandanchorchurch.com/hopeandanchorpodcast/2020/2/9/core-values-2020-week-3-toki-pona
If you want to be a polyglot, start with toki pona
Webosoof